Vehicle security 13

자율주행 차량용 라이다 센서 기술 동향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35&wr_id=64자율주행 기술은 사람이 운전하는 것보다 높은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자율주행 기술을 탑재한 자동차는 카메라, 레이더(Radar), 라이다(Lidar) 등 센서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최종 의사 결정을 내리기 때문에 사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운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운전자의 부주의 나 스트레스, 피로와 같은 요소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다. 또한 자율주행 자동차는 속도와 주행 결로 등을 신호 체계와 연동하여 교통 체증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1. 카메라 (CAMERA) 변환경을 찰여하여 이미지로 출력하는센서. 가격이 다른 센서들에 비해 저렴..

Vehicle security 2024.12.29

Secure Boot (보안부팅)

Secure Boot는 소프트웨어가 실행되기 전에 무결성과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보안 메커니증  즉, 보안 부팅을 통해 내장된 장치를 부팅할 때 인증 되지 않거나 수정된 소프트웨어를 탐지(및 실행을 거부할 수 있음) 할수 있습니다.   보안부팅은 공격자가 장치에서 지속성을 얻는 능력을 감소시킨다.   소프트웨어가 변경되거나 위조되지 않았는지 확인하여 장치를 안전하게 유지한다.  CPU -> 부트로더 -> 커널 -> RoofFileSystem(RootFS)의 순서로 각각의 시그니처 & 무결성 정보를 확인, 이미지에 변조가 없다면, 정상적으로 부팅이 완료되게 하는 기술 저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는 보안 기능De-Face 공격 (펌웨어 및 구동 페이지 변조로, 해킹 당한 표시 및 오작동을 일으키는 방식), 업데..

Vehicle security 2024.06.28

커넥티드카 동향

자동차 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과거의 자동차는 하드웨어 중심의 '이동수단' 으로써의 기능만 수행했다면, 현재 또는 미래의 자동차(이하 커넥티드카)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달리는 고성능 컴퓨터'로써의 기능까지 수행한다. 커넥티드카는 차량 내/외부와의 연결성을 강화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ex. 교통상황 , 도로상황 등)하며 운전자와 동승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에 기여할 것 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즉, 자동차는 외부와의 연결성이 없던 Stand Alone 방식에서 외부와의 연결성을 점점 높인 Networked 방식의 커넥티드카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미 국내/외에서는 이러한 커넥티드카 기능을 기본으로 탑재한 자동차들이 출시되고있다.커넥티드카 개념커넥티트카(Conn..

Vehicle security 2024.06.23

자율주행차 책임론

개요 우리나라는 2019년 12월 세계최초로 레벨 3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기준을 마련하는 등 관련법,제도를 완비했으며, 올해 말 해당 등급의 자율주행자동차 출시를 앞둠. 또한 레벨 4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안전 기준과 보험제도 등 제도를 함께 추진해 나갈 예정 책임 누가 져야하나 소유자 VS 제작사, 현행법은 소유자최근 자율주행차 사고 책임이 화두가 된 이유는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운전자가 차량의 제어권을 내어줬기 때문이다. 3단계와 달리 4단계의 자율주행차는 위기 발생시에도 운전자에게 제어권을 넘겨주지 않는다.기존과 유사하게 자량의 소유자가 책임을 져야한다는 측에서는소유자가 운행에 따른 이익을 얻기 때문에 1차적 배상책임과 보험 가입의무를 져야 한다고 주장한다.다만 과실 없이도 책임만 따른다는점에서 ..

Vehicle security 2024.06.23

V2X 통신/보안 표준

DSRC 표준DSRC :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의 약자이며, 단거리 전용 통신 방식으로, 지능형 교통 체계(ITS)에서 활용하는 통신 방식이다. 노변기지국(RSE, Road Side Equipment) 이라고 불리는 도로변에 위치한 소형 기지국과 차량 내에 탑재된 차량 탑재 단말(OBE, OnBorad Equipment)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5.8Hz 주파수 대역 이용)을 통해 각종 정보를 주고 받는 ITS 핵심기술이다. DSRC는 도로 자동 요금 징수 서비스(하이패스), 버스정류장의 버스도착알림 서비스, 네비게이션의 교통정보알림 서비스, 물류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에서 활용된다.ISO TC204 WG16 CALM 표준ITS 통신 기술의 대표적인 표준화 기구인 ..

Vehicle security 2024.06.23

CAN Network

CAN 이란 ?CAN(Controller Area Netwokr), 차량 내에서 호스트 컴퓨터 없이 마이크로 컨트롤러나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설계된 표준 통신 규격이다,챠량 내 ECU(Electronic Control Unit)들은 CAN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초기에는 차량 네트워크용으로 개발 되었으나 최근에는 차량뿐 아니라 산업 전분야에 폭넓게 적용되고있다.CAN 등장 배경초기 자동차에는 모듈이 많지 않았기에 UART방식, 일대일(Point-To-Point) 방식으로 ECU를 연결했다. 이러한 방식이라면 서로 다른 모듈간 통신을 위해서는 많은 선(Line)이 필요한 것이 문제 배선의 증가로 인한 유지보수 문제, 배선 증가로 무게 증가, 연비 하락과도 연결이 되었으며, 기술의 발전으로 차..

Vehicle security 2024.06.23

FlexRay

FlexRay 개발 배경차량에서의 무수히 많은 제어 장치들, 센서들과 액츄에이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은 주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지며, 높은 대역폭을 필요로하지 않거나 고성능이 필요하지 않은 통신의 경우(EX. 문, 지붕, 창문 등)에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을 통해 이루어짐. 또한, 차량들의 보다 높은 연결성과 편리성을 위해 제어 유닛들 간의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무선데이터 서비스 장치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다른 네트워크들의 장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이러한 네트워크들은 대량 데이터의 신속한 교환에 맞게 설계된다. 제어 유닛들 간에 교환되는 데이터양이 늘어남에 따라 시간당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면서, 시간 결..

Vehicle security 2024.06.23

V2X

ITS/C-ITS 텔레매틱스ITS :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의 약자로, '지능형 교통체계' 를 말한다.교통, 전자, 통신, 제어 등 첨단 기술을 도로, 차량, 화물 등 교통 체계의 구성요소에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교통 정보를 수집, 관리, 제공 한다. 즉 ITS란 교통시설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 교통체계 시스템이다. 우리 생활에서 접할수 있는 ITS는 버스정류장의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 교차로에서 교통량에 따라 자동으로 신호가 바뀌는 시스템, 네비게이션의 실시간 교통정보 알림 시스템, 하이패스 등이 있다.C-ITS 개념C-ITS : 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의 약자로 차량이 주행 중 운전자에게 주변 고통상황과..

Vehicle security 2024.06.23

LIN Network

LIN 이란 ?LIN (Local Interconncet Network), 자동차 네트워크에서 컴포넌트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직렬 통신 시스템이다. LIN은 CAN과 같이 다중화되고 있는 네트워크를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저가형 임베디드 네트워킹의 표준이며, 자동차 업계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한다. 대부분의 현대식 저가형 8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에 내장된 표준 시리얼 유니버셜 비동기 송/수신기 (UART)를 사용하면 비교적 저렴하게 LIN통신을 구현할수 있다. LIN은 보통 CAN 고대역폭과 다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액추에이터와 스마트 센서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된다. 파워윈도우 기능, 좌식조절기 기능과 같이 높지 않은 성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기능들을 CAN으로 구현하기 에는 많은 비용이 요구되므로, 이러한..

Vehicle security 2024.06.23